본문 바로가기
건강

딸꾹질 멈추는 확실한 방법, 100%

by 손편지(handwriting) 2022. 2. 20.

 

딸꾹질이 잘 멈추지 않아서 고생한 적이 누구나 있을 겁니다. 오늘은 딸꾹질을 멈추는 확실한 방법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방법으로 실패를 한 사람은 한 명도 보지 못했습니다. 그만큼 확실하고 안전하고 과학적인 방법입니다.

딸꾹질 원인

딸꾹질은 우리 배 속에 횡격막 신경이 자극받아 횡격막이 일시적인 긴장으로 인해 수축하면서 공기가 차단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때 "딸꾹" "딸꾹"하는 특징적인 소리가 납니다. 그러니까 식도나 위 운동이 좋지 않은 상태, 다시 말하면 급하게 무엇을 먹거나 한꺼번에 많이 먹어서 소화기에 어떤 불균형이 생겼을 때, 자율신경이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일으키는 일종의 근육 경련 증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심리적인 원인으로 딸꾹질을 할 수도 있습니다. 갑자기 충격적이거나 깜짝 놀랄 소식을 듣게 되었을 때도 딸꾹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갑작스러운 어떤 신체 동작을 취했을 때도 생길 수 있고, 뚜렷한 아무 이유 없이도 딸꾹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기나 어린이의 경우 음식물이 기도를 막는 경우에 딸꾹질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럴 때는 응급상황이므로 딸꾹질을 멈추는 것보다 우선 등을 세게 두드려 주거나 입 속에 손을 넣어 음식물을 빼서 기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딸꾹질은 대부분 오래가지 않고 물을 마시거나 침을 삼키거나 1분 정도 숨을 잠깐 참으면 사라지죠. 하지만, 몇 시간, 또는 하루 이상 오래 딸꾹질을 계속한다면, 그리고 자주 그런다면, 병원에 내원해서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딸꾹질을 멈추는 확실한 방법

오늘 제가 알려드리는 방법은 딸꾹질이 심해서 병원에 가서 근육이완제를 처방받고 복용해도, 딸꾹질이 멈추지 않았던 사례에서도 적용하여 딸꾹질을 멈추게 한 방법입니다. 비용도 들지 않고, 방법도 간단합니다. 물구나무서기처럼 어렵지도 않고 민간요법처럼 비과학적인 방법도 아닙니다.

 

딸꾹질은 횡격막 근육을 이완시켜주는 것이 핵심적인 부분인데,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약간만 높아져도 약간 몸이 나른해지면서 피가 통하는 모든 근육이 이완됩니다. 횡격막 근육도 쉽게 이완됩니다.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숨을 참는 방법도 있지만, 답답하고 참기 어려운 상황도 있어서, 30초나 1분 정도 숨을 참는 것만으로는 해결이 잘 되지 않습니다.

 

똑같은 원리이기는 하지만, 이렇게 하면 확실하게 딸꾹질을 멈출 수 있습니다. 주방에 있는 얇은 비닐봉투(바람이 새지 않아야 합니다.)로 손으로 입과 코를 잘 막고 비닐봉지로 숨을 10~30회 쉬기만 하면 그사이에 신기하게도 딸꾹질이 멈춥니다.

 

이 방법은 숨을 참는 것보다 고통스럽지 않고, 쉽습니다. 그리고 확실히 딸꾹질이 멈춥니다. 바람이 새지 않은 비닐봉지로 호흡을 하면, 산소가 부족하고 이산화탄소가 많은 공기를 마시는 효과가 있어서 체내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금세 쉽게 높아지므로, 손으로 밀폐를 잘했을 때, 보통은 10회 정도 호흡하면 딸꾹질이 멈춥니다.

 

비닐봉지 호흡법, 출처: 서울아산병원

 

 

호흡을 30회 정도 했는데도 딸꾹질이 멈추지 않는다면, 비닐봉지를 떼고, 신선한 공기를 들이마신 다음, 조금 있다가 다시 같은 방법으로 해 보세요. 아무리 심한 딸꾹질이라도 이 방법을 3회 정도 했을 때 멈추지 않는 딸꾹질을 본 적이 없습니다.

보통 이상으로 딸꾹질을 자주 하고 트림을 자주 하는 분, 한 번 딸꾹질이 시작하면 오래가는 분, 딸꾹질을 했을 때 어떤 특정 신체 부위에 통증이 있는 분(심장, 목, 아랫배 등)은 일시적인 문제가 아니므로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반드시 비닐봉지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바람이 새지 않는 밀폐된 봉투라면 종이봉투도 어떤 봉투도 괜찮습니다.

참고로, 제가 오늘 소개해 드린 비닐봉지 호흡법은 갑자기 호흡이 빨라지고, 호흡이 매우 힘들어지며, 어지러움, 시력 장애 의식 저하, 심하면 실신까지 발생하는 과호흡 증후군의 치료법 중 하나와 같습니다. 과호흡 증후군은 주로 젊은 여성에게서 나타납니다. 과호흡 증후군은 동맥 속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정상 범위(37~47mmHg)를 벗어나 아래로 떨어져서 나타나는 것이고, 딸꾹질은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정상이지만, 일시적으로 약간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높이면 해결됩니다.

 

오늘은 딸꾹질을 멈추는 확실한 방법에 관해 알아보았는데요. 딸꾹질로 고생하시는 분들께 좋은 해결책이 되길 바랍니다. 지금 딸꾹질로 고생하신다면 지금 당장 해 보세요!

 

댓글